커리큘럼
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 학사과정용
※ 공통 이수요건은 반드시 따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졸업이수학점 : 총 138학점 이상 이수
※ 전공 이외에 심화전공, 부전공, 복수전공, 자유융합전공, 지정융합전공, 특별지정전공 중에서 반드시 한 가지 이상 선택하여 이수
- 전공 : 45학점 이상 이수
- 전공필수 : 12학점
CE250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 개론(3),CE212 환경과 지속가능성 개론(3), CE252 건설환경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개론(3), CE253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센싱기술 개론(3)
- 전공선택 : 33학점
- 전공선택 인정과목 : 아래에 지정된 교과목(대체교과목 포함)을 이수하는 경우 9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
- * 기계공학과
ME203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설계(3), ME207 응용전자공학(3), ME221 유체역학(3),
ME231 고체역학(3), ME301 수치해석(3), ME311 열 전달(3),, ME330 응력해석기초(3),
ME351 진동공학(3), ME361 시스템 모델링 및 제어(3), ME411 에너지 시스템 최적설계(3),
ME453 로봇공학개론(3), ME460 자동제어(3) - * 산업및시스템공학과
IE363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개론(3) - * 전기및전자공학과
EE381 제어시스템공학(3) - * 원자력및양자공학과
NQE281 에너지, 환경 및 물(3) - * 생명과학과
BS205 생화학I(3), BS209 분자생물학(3), BS414 생태학(3) - * 화학과
CH211 물리화학I(3), CH221 유기화학I(3), CH241 무기화학I(3), CH263 분석화학개론(3) - * 공과대학에서 개설한 전공선택 교과목(CoE코드)을 전공선택으로 최대 6학점까지 인정함.
- * 기계공학과
- 전공필수 : 12학점
- 심화전공 : 총 12학점 이상 이수
전공선택 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 ※ 본 이수요건의 전공선택 인정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6학점 이내에서 심화전공 학점으로 인정
- 자유융합전공 : 총 12학점 이상 이수
소속학과를 제외하고 2개 이상 학사조직의 전공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
- 부전공 : 총 18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선택 6학점 이상 이수 ※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중복 인정 불가
- 복수전공 : 총 40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 ※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 최대 6학점까지 중복인정 가능
- 연구 : 총 3학점 이상 이수
졸업연구 3학점은 반드시 이수 (단, 복수전공 이수자는 연구과목 이수를 면제함)
학번별 전공필수 및 전공선택 이수요건
(CE476 인공지능과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사회기반구조물 및 환경 설계(3)로 대체가능)구분 2020학년도 이전 입학생 2021학년도 이후 입학생 전공필수 12학점 12학점 CE201 재료역학
CE230 토질역학 및 실험I
CE350 교통시스템 공학개론
CE371 환경과학 및 공학CE250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 개론
CE212 환경과 지속가능성 개론
CE252 건설환경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개론
CE253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센싱기술 개론전공선택 33학점 33학점
- 경과조치
- 위 이수요건은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.
- 2022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위 이수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다.
- 본 이수요건 중 공과대학에서 개설한 전공선택 교과목(CoE코드)을 전공선택으로 인정하는 사항은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.
- 기타사항
- 특강 과목의 부제와 정식 교과목의 부제가 같은 경우 과목 번호가 달라도 동일 과목으로 간주한다.
2021학년도 이후 입학생 학사과정용
※ 공통 이수요건은 반드시 따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졸업이수학점 : 총 136학점 이상 이수
※ 전공 이외에 심화전공, 부전공, 복수전공 및 자유융합전공 중에서 반드시 한 가지 이상 선택하여 이수
- 전공 : 45학점 이상 이수
- 전공필수 : 12학점
CE250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 개론(3),CE212 환경과 지속가능성 개론(3), CE252 건설환경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개론(3), CE253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센싱기술 개론(3)
- 전공선택 : 33학점
- 전공선택 인정과목 : 아래에 지정된 교과목(대체교과목 포함)을 이수하는 경우 15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
- * 기계공학과
ME203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설계(3), ME221 유체역학(3), ME231 고체역학(3), ME301 수치해석(3), ME312 환경과 에너지(3), ME330 응력해석기초(3), ME351 진동공학(3), ME420 응용유체역학(3) - * 산업및시스템공학과
IE363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개론(3) - * 생명화학공학과
CBE471 환경공학개론(3) - * 전기및전자공학과
EE381 제어시스템공학(3) - * 화학과
CH211 물리화학I(3), CH221 유기화학I(3), CH241 무기화학I(3), CH263 분석화학개론(3) - * 공과대학에서 개설한 전공선택 교과목(CoE코드)을 전공선택으로 최대 6학점까지 인정함.
- * 기계공학과
- 전공필수 : 12학점
- 심화전공 : 총 12학점 이상 이수
※ 전공선택 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
- 자유융합전공 : 총 12학점 이상 이수
소속학과를 제외하고 2개 이상 학사조직의 전공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
- 부전공 : 총 18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선택 6학점 이상 이수 ※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중복 인정 불가
- 복수전공 : 총 40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 ※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 최대 6학점까지 중복인정 가능
- 연구 : 총 3학점 이상 이수
졸업연구 3학점은 반드시 이수 (단, 복수전공 이수자는 연구과목 이수를 면제함)
학번별 전공필수 및 전공선택 이수요건
(CE476 인공지능과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사회기반구조물 및 환경 설계(3)로 대체가능)구분 2020학년도 이전 입학생 2021학년도 이후 입학생 전공필수 12학점 12학점 CE201 재료역학
CE230 토질역학 및 실험I
CE350 교통시스템 공학개론
CE371 환경과학 및 공학CE250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 개론
CE212 환경과 지속가능성 개론
CE252 건설환경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개론
CE253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센싱기술 개론전공선택 33학점 33학점
- 경과조치
- 위 이수요건은 2021학년도 이후 입학생부터 적용한다.
- 2020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위 이수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다.
- 본 이수요건 중 공과대학에서 개설한 전공선택 교과목(CoE코드)을 전공선택으로 인정하는 사항은 모든 재학생에게 적용한다.
- 심화전공을 선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 이수요건에 명시된 전공 선택 인정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15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한다.
- 심화전공을 선택하는 경우 본 이수요건이나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 이수요건에 명시된 전공선택 인정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9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하고 6학점 이내에서 심화전공 학점으로 인정한다.
- 기타사항
- 특강 과목의 부제와 정식 교과목의 부제가 같은 경우 과목 번호가 달라도 동일 과목으로 간주한다.
2016학년도 이후 입학생 학사과정용
※ 공통 이수요건은 반드시 따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졸업이수학점 : 총 136학점 이상 이수
※ 전공 이외에 심화전공, 부전공, 복수전공 및 자유융합전공 중에서 반드시 한 가지 이상 선택하여 이수
- 전공 : 45학점 이상 이수
- 전공필수 : 12학점
CE201재료역학(3), CE230토질역학 및 실험I(3), CE350교통시스템 공학개론(3), CE371환경과학 및 공학(3)
- 전공선택 : 33학점
- 전공선택 인정과목 : 아래에 지정된 교과목(대체교과목 포함)을 이수하는 경우 15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
- * 기계공학과
ME203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설계(3), ME221 유체역학(3), ME231 고체역학(3), ME301 수치해석(3), ME312 환경과 에너지(3), ME330 응력해석기초(3), ME351 진동공학(3), ME420 응용유체역학(3) - * 산업및시스템공학과
IE363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개론(3) - * 생명화학공학과
CBE471 환경공학개론(3) - * 전기및전자공학과
EE381 제어시스템공학(3) - * 화학과
CH211 물리화학I(3), CH221 유기화학I(3), CH241 무기화학I(3), CH263 분석화학개론(3)
- * 기계공학과
- 전공필수 : 12학점
- 심화전공 : 총 12학점 이상 이수
※ 전공선택 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
- 자유융합전공 : 총 12학점 이상 이수
소속학과를 제외하고 2개 이상 학사조직의 전공교과목 중 12학점 이상 이수
- 부전공 : 총 18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선택 6학점 이상 이수 ※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과의 중복 인정 불가
- 복수전공 : 총 40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 ※ 타 학사조직 전공과목 최대 6학점까지 중복인정 가능
- 연구 : 총 3학점 이상 이수
졸업연구 3학점은 반드시 이수 (단, 복수전공 이수자는 연구과목 이수를 면제함)
- 경과조치
- 본 이수요건은 2016학년도 이후 입학생에게 적용하며, 2015학년도 이전 입학생은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위 이수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다.
- 2022학년도부터는 「새로운 전공필수 교과목(CE250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 개론, CE212 환경과 지속가능성 개론, CE252 건설환경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개론, CE253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센싱기술 개론)」이나 「전공선택으로 변경된 기존의 전공필수 과목(CE201 재료역학(기존), 재료 및 구조역학(변경); CE230 토질역학 및 실험 I(기존), 지반공학개론 (변경); CE350 교통시스템 공학개론(기존) 모빌리티공학개론(변경); CE371 환경과학 및 공학(기존), 지속가능환경을 위한 화학(변경)」중 필요한 이수학점 만큼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다. 또한, 전공선택으로 변경된 기존의 전공필수 과목(CE201 재료역학(기존), 재료 및 구조역학(변경); CE230 토질역학 및 실험 I(기존), 지반공학개론 (변경); CE350 교통시스템 공학개론(기존) 모빌리티공학개론(변경); CE371 환경과학 및 공학(기존), 지속가능환경을 위한 화학(변경)을 재수강하는 경우에는 전공필수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.
- 심화전공을 선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전공선택 학점은 본 이수요건이나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 이수요건에 명시된 전공선택 인정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15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한다.
- 심화전공을 선택하는 경우 본 이수요건이나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 이수요건에 명시된 전공선택 인정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9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하고 6학점 이내에서 심화전공 학점으로 인정한다.
- 기타사항
- 특강 과목의 부제와 정식 교과목의 부제가 같은 경우 과목 번호가 달라도 동일 과목으로 간주한다.
2015학년도 이전 입학생 학사과정용
※ 공통 이수요건은 반드시 따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졸업이수학점 : 총 130학점 이상 이수
- 전공 : 45학점 이상 이수
- 전공필수 : 12학점
재료역학, 토질역학 및 실험I, 교통시스템 공학개론, 환경과학 및 공학
- 전공선택 : 33학점
- 전공선택 인정과목 : 아래에 지정된 교과목(대체교과목 포함)을 이수하는 경우 15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
- * 기계공학과
ME203(메카트로닉스 시스템설계), ME221(유체역학), ME231(고체역학), ME301(수치해석), ME312(환경과 에너지), ME330(응력해석기초), ME351(진동공학), ME420(응용유체역학) - * 산업및시스템공학과
IE363(모델링 및 시뮬레이션개론) - * 생명화학공학과
CBE471(환경공학개론) - * 전기및전자공학과
EE381(제어시스템공학) - * 화학과
CH211(물리화학I), CH221(유기화학I), CH241(무기화학I), CH263(분석화학개론)
- * 기계공학과
- 전공필수 : 12학점
- 부전공 : 총 21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과 전공선택 9학점 이상(총 21학점 이상)을 이수하여야 함
- 복수전공 : 총 40학점 이상 이수
전공필수 12학점을 포함하여 전공과목 40학점 이상 이수
- 연구 : 총 3학점 이상 이수
졸업연구 3학점은 반드시 이수 (단, 복수전공 이수자는 연구과목 이수를 면제함)
- 경과조치
- 본 이수요건은 2015학년도 이전 입학생에게 적용하며, 본인이 희망하는 경우 2016학년도 이후 입학생 이수요건을 적용받을 수 있다.
- 본 이수요건은 2014년 봄 입학생부터 적용하며, 그 전 입학생은 본인의 희망 입학년도 이수요건으로 선택할 수 있다
- 2022학년도부터는 「새로운 전공필수 교과목(CE250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 개론, CE212 환경과 지속가능성 개론, CE252 건설환경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개론, CE253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센싱기술 개론)」이나「전공선택으로 변경된 기존의 전공필수 과목(CE201 재료역학(기존), 재료 및 구조역학(변경); CE230 토질역학 및 실험 I(기존), 지반공학개론 (변경); CE350 교통시스템 공학개론(기존) 모빌리티공학개론(변경); CE371 환경과학 및 공학(기존), 지속가능환경을 위한 화학(변경)」중 필요한 이수학점 만큼 선택하여 이수할 수 있다. 또한, 전공선택으로 변경된 기존의 전공필수 과목(CE201 재료역학(기존), 재료 및 구조역학(변경); CE230 토질역학 및 실험 I(기존), 지반공학개론 (변경); CE350 교통시스템 공학개론(기존) 모빌리티공학개론(변경); CE371 환경과학 및 공학(기존), 지속가능환경을 위한 화학(변경)을 재수강하는 경우에는 전공필수 과목을 이수한 것으로 인정한다.
- 전공선택 학점은 본 이수요건이나 2023학년도 이후 입학생 이수요건에 명시된 전공선택 인정과목을 이수하는 경우 15학점 이내에서 전공선택 학점으로 인정한다.
- 기타사항
- 특강 과목의 부제와 정식 교과목의 부제가 같은 경우 과목 번호가 달라도 동일 과목으로 간주한다.
과목구분 | 교과목코드 | 교과목명 | 강:실:학 | 개설학기 | 트랙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기초선택 | CE.10001 | 지속가능 사회 인프라 시스템과 환경의 이해 | 3:0:3 | 봄, 가을 | ||
전공필수 | CE.20012 | 환경과 지속가능성 개론 | 3:0:3 | 봄 | ||
CE.20050 | 스마트시티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쳐 개론 | 3:0:3 | 봄 | |||
CE.20052 | 건설환경공학 데이터사이언스 개론 | 3:1:3 | 봄, 가을 | |||
CE.20053 |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센싱기술 개론 | 3:0:3 | 가을 | |||
전공선택 | CE.20001 | 재료 및 구조역학 | 3:0:3 | 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
CE.20030 | 지반공학개론 | 2:3:3 | 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|
CE.20032 | 지반구조물 해석 및 설계 | 3:0:3 | 가을 | Energy Infra-Systems | ||
CE.20040 | 도시건축학 개론 | 3:0:3 | 봄 | Smart Urban Systems | ||
CE.20054 | 환경과학 및 공학 개론 | 3:0:3 | 가을 | Sustainable Environment / Energy Infra-Systems | ||
CE.20091 | 지리공간 분석 개론 | 3:2:3 | 봄, 가을 | Smart Urban Systems / Energy Infra-Systems | ||
CE.30002 | 건설환경공학 수치해석 | 3:0:3 | 봄 | All | ||
CE.30003 | 구조동역학 및 지진공학 개론 | 3:0:3 | 가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|
CE.30012 | 구조해석 | 3:0:3 | 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|
CE.30014 | 구조설계의 원리 | 3:0:3 | 가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|
CE.30015 | 지속가능 건설 재료 | 2:3:3 | 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|
CE.30016 | 사회기반시설물을 위한 데이터수집 및 신호처리 | 3:0:3 | 가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|
CE.30022 | 환경 모니터링 및 모델링 * | 3:0:3 | 가을 | Sustainable Environment | ||
CE.30031 | 에너지 지반역학 | 3:0:3 | 봄 | Energy Infra-Systems | ||
CE.30040 | 건설 IT 및 로보틱스 | 3:0:3 | 봄, 가을 | Smart Urban Systems | ||
CE.30042 | 디자인 빌드 * | 3:0:3 | 봄 | Smart Urban Systems | ||
CE.30045 | 도시 및 광역계획론 | 3:0:3 | 가을 | Smart Urban Systems | ||
CE.30050 | 모빌리티시스템공학개론 | 3:0:3 | 봄 | Smart Urban Systems | ||
CE.30052 | 건설 IT를 위한 시스템 모델링 및 해석 | 3:0:3 | 봄 | Energy Infra-Systems | ||
CE.30055 | 스마트 모빌리티 프로젝트 | 3:0:3 | 여름, 겨울 | Smart Urban Systems | ||
CE.30056 | 모빌리티 인공지능 개론 및 실습 | 3:1:3 | 봄, 가을 | Smart Urban Systems | ||
CE.30071 | 지속가능환경을 위한 화학 | 3:0:3 | 가을 | Sustainable Environment | ||
CE.30072 | 지속가능 물순환 공정 | 3:0:3 | 가을 | Sustainable Environment | ||
CE.30073 | 수리수문학 | 3:0:3 | 봄, 가을 | Sustainable Environment / Energy Infra-Systems | ||
CE.30077 | 지속가능환경을 위한 스마트 물관리 기술 | 3:0:3 | 봄 | Sustainable Environment | ||
CE.30093 | 건설관리 | 3:0:3 | 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||
CE.40021 | 에너지지반공학 및 지질학 | 3:0:3 | 가을 | Energy Infra-Systems | ◎ | |
CE.40022 | 지하도시 * | 3:0:3 | 봄 | Smart Urban Systems / Energy Infra-Systems | ◎ | |
CE.40037 | 지반개량공법 | 3:0:3 | 가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◎ | |
CE.40041 | 도시 디자인 스튜디오 | 3:0:3 | 가을 | Smart Urban Systems | ◎ | |
CE.40044 |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* | 3:0:3 | 봄 | Smart Urban Systems | ◎ | |
CE.40046 | 공간과 사회 * | 3:0:3 | 가을 | Smart Urban Systems | ◎ | |
CE.40062 | 레질리언스 공학 개론 | 3:0:3 | 가을 | Resilient Infrastructure | ◎ | |
CE.40073 | 환경바이오프로세스 | 3:0:3 | 가을 | Sustainable Environment | ◎ | |
CE.40075 | 자원순화를위한 폐기물관리 | 3:0:3 | 가을 | Sustainable Environment / Energy Infra-Systems | ◎ | |
CE.40076 | 인공지능과 스마트기술을 이용한 사회기반구조물 및 환경 설계 | 1:6:3 | 봄, 가을 | ◎ | ||
CE.49903 | 건설 및 환경공학 특강 | 3:0:3 | 봄, 가을 | ◎ |
||
CE.49904 | 건설환경 단기강좌 I | 1:0:1 | 여름 | |||
CE.49905 | 건설환경 단기강좌 II | 2:0:2 | 여름 | |||
CE.49906 | 건설 및 환경공학 특강Ⅰ | 1:0:1 | 봄, 가을 | ◎ |
||
CE.49907 | 건설 및 환경공학 특강Ⅱ | 2:0:2 | 봄, 가을 | ◎ |
||
연구 | CE.91000 | 졸업연구 | 0:6:3 | 봄, 가을 | ||
CE.91100 | 개별연구 | 0:6:1 | 봄, 여름, 가을, 겨울 | |||
CE.93000 | 세미나 | 1:0:1 | 봄,가을 |
- ※ ◎ : 학사·대학원 상호인정교과목임
- ※ 해당 이수요건 연도에 따라 교과목 구분, 교과목명, 상호인정 여부 등이 다를 수 있음
개설학과 | 과목번호 | 전산코드 | 교과목명 | 강:실:학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
기계공학전공 | ME203 | B7.203 | 메카트로닉스 시스템설계 | 2:3:3 | |
ME207 | B7.207 | 응용전자공학 | 2:3:3 | ||
ME221 | B7.221 | 유체역학 | 3:0:3 | ||
ME231 | B7.231 | 고체역학 | 3:1:3 | ||
ME301 | B7.301 | 수치해석 | 3:0:3 | ||
ME311 | B7.311 | 열전달 | 3:0:3 | ||
ME312 | B7.312 | 환경과 에너지 | 3:0:3 | ||
ME330 | B7.330 | 응력해석기초 | 3:0:3 | ||
ME351 | B7.351 | 진동공학 | 3:0:3 | ||
ME361 | B7.361 | 시스템 모델링 및 제어 | 3:0:3 | ||
ME411 | B7.411 | 에너지 시스템 최적설계 | 3:0:3 | ||
ME420 | B7.420 | 응용유체역학 | 3:0:3 | ||
ME453 | B7.453 | 로봇공학개론 | 3:0:3 | ||
ME460 | B7.460 | 자동제어 | 2:3:3 | ||
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| IE363 | 31.363 |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개론 | 3:1:3 | |
생명화학공학과 | CBE471 | 39.471 | 환경공학개론 | 3:0:3 | |
전기및전자공학과 | EE381 | 35.381 | 제어시스템공학 | 3:0:3 | |
원자력및양자공학과 | NQE281 | 33.281 | 에너지, 환경 및 물 | 3:0:3 | |
생명과학과 | BS205 | 21.205 | 생화학 | 3:0:3 | |
BS209 | 21.209 | 분자생물학 | 3:0:3 | ||
BS414 | 21.414 | 생태학 | 3:0:3 | ||
화학과 | CH211 | 23.211 | 물리화학 Ⅰ | 3:0:3 | |
CH221 | 23.221 | 유기화학 Ⅰ | 3:0:3 | ||
CH241 | 23.241 | 무기화학Ⅰ | 3:0:3 | ||
CH263 | 23.263 | 분석화학개론 | 3:0:3 |
- ※ 이수요건 연도에 따라 인정 여부가 다를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