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진현

조교수

지반의 물리·역학적 거동은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청정에너지(지열,수소,풍력 등) 인프라시스템 구축 및 관리부터, 기후변화로 인해 더욱 심각해지는 자연재해(산사태,홍수 등) 피해 저감까지, 인류가 해결해야하는 다양한 문제들에 공통적으로 중요합니다

저희 연구실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 발전과 관련한 지반의 물리·역학적 거동을 분석, 예측, 관리하는 차세대 기술들을 연구합니다. 저희는 특히 전산적 기법을 활용한 다공성(porous), 입상(granular), 불연속(discontinuous) 물질의 역학 및 다중물리 거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에 세계적 수준의 전문성을 갖고 있습니다.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현재 저희 연구는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과 머신 러닝 기법을 결합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선도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.

학력
∙ 서울대학교 지구환경시스템공학 학사 (2007)
∙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 석사 (2009)
∙ Stanford University 건설및환경공학(기계공학 부전공) 박사 (2016)
경력
∙ 2009 ㈜다산이엔지 사원
∙ 2009–20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
∙ 2016–2017 Columbia University 박사후연구원
∙ 2018–2022 The University of Hong Kong 건설공학과 조교수
∙ 2021–2022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객원조교수
∙ 2022–현재 KAIST 건설및환경공학과 조교수
주요연구분야
∙ 지반 변형 및 파괴 거동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
∙ 다공성/입상/불연속 물질들의 역학 및 다중물리
∙ 물리 시뮬레이션, 센싱, 머신 러닝을 결합한 디지털 트윈 기술
∙ 지속 가능한 친환경 에너지 지반공학 기술
훈장 및 포상
∙ 2012–2014 풀브라이트 장학생
∙ 2021 미국토목학회(ASCE) 공업역학(EMI) 다공체역학(Poromechanics) Competition Winner 지도교수
∙ 2021 미국토목학회(ASCE) 공업역학(EMI) 전산역학(Computational Mechanics) Competition Runner Up 지도교수